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애플워치 AOD 필요성 꼭 필요할까요?

애플워치 AOD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보고 계세요? 이제는 기본 기능이 된 AOD 기능을 꺼둘지 켜둘지 고민인 분은 확인해 보세요!



애플워치 AOD 필요성

애플워치 AOD란?

애플워치 시리즈 5 이후부터 지원된 AOD는 Always On Display의 약자로 상시표시형 디스플레이라고도 불립니다. 말 그대로 디스플레이가 항상 켜져 있는 상태인데 센서를 통해 직접 보고 있지 않을 때는 화면이 약간 어두워지고, 직접 보고 있으면 본래의 밝기로 돌아옵니다. AOD가 없는 애플워치는 직접 보지 않고 손목을 내리고 있거나 돌리면 화면이 꺼지기 때문에 그 차이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OD 기능은 갤럭시는 오래전부터 지원됐고 아이폰은 아이폰 14 프로 라인, 애플워치 5세대부터 지원돼 지원된 지 얼마 안 됐습니다. 갤럭시와 애플의 AOD 기능은 조금 다르지만 기본 틀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애플워치 AOD

애플워치 AOD 필요할까?

애플워치 AOD를 사용하게 되면 아무런 동작 없이 바로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약간 어두워진 상태지만 애플워치를 정면으로 바라보지 않더라도 다양한 각도에서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AOD 기능은 있다가 없으면 괜히 불편함을 느끼기도 하는 편리한 기능으로 평소에 스마트 워치가 아닌 일반 시계를 잘 착용하셨던 분이라면 AOD 기능이 있는 게 훨씬 편리하실 겁니다.

애플워치 AOD가 활성화된 상태라면 화면이 어둡게 나타나지만 워치페이스는 그대로 표현되기에 꺼진 화면보다 패션 아이템으로도 활용도가 높습니다. 애플워치에 관심이 없는 분이라면 눈치채지 못할 수도 있지만 애플워치를 아는 분이라면 이런 부분은 바로 눈에 들어옵니다.


애플워치 AOD 단점

AOD 단점 배터리 소모

상시표시형 디스플레이이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가 어쩔 수 없이 빠른 편입니다. 직접 보고 있지 않을 때는 밝기를 낮춰서 최대한 배터리 소모를 줄이지만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 빠르게 소모되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하지만 충전을 자주 하시거나 습관처럼 하시는 분이라면 이런 부분은 전혀 문제 될 게 없습니다. 그리고 애플워치 시리즈 6부터는 충전 속도가 기존의 애플워치에 비해 빨라졌습니다. 약 90분 정도면 100% 완전 충전이 되고 애플워치 시리즈 7 이후 모델부터는 45분만 충전해도 80%까지 충전할 수 있어서 AOD 기능 활성화에 따른 부담은 되지 않으실 겁니다. 그리고 배터리 용량이 부족할 때는 AOD를 비활성화할 수 있으니 최대한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사용할 때 AOD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과 비활성화하는 것에 따른 배터리 차이 용량 차이는 약 10%~20% 정도 차이 납니다. 이 정도의 차이로 AOD 기능을 꺼두는 분도 계시고 어차피 10%는 큰 차이 없다고 생각하고 충전을 조금 더 해주는 분도 계십니다.


번인 현상

번인 현상이란 오래 사용하던 화면이 다른 화면으로 전환해도 잔상이 옅게 남아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애플워치도 AOD를 오래 사용하면 약간의 번인 현상이 나타납니다. 다만 신경 쓰일 정도는 아닙니다. 배경을 하얀 바탕을 두고 확인해 보시면 아주 옅게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정도로 불편함을 겪을 정도는 아닙니다.


애플워치 AOD 비활성화

AOD 활용법

애플워치에 관심이 없는 분은 잘 모르시겠지만, 관심이 있는 분은 AOD 기능으로 은은하게 워치 페이스가 켜져 있는 것을 보면 훨씬 예쁘게 보입니다. 페이스도 자신의 기분이나 원하는 패션에 맞춰 바꿀 수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어두운 화면에서 다시 밝은 화면으로 전환할 때 어떻게 전환할 것인지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손목을 돌려서 전환하거나 크라운을 돌려서 전환하기가 있습니다. 만약 두 기능 모두 필요 없을 경우 둘 다 해제한 상태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중 가장 편한 건 손목을 돌려서 전환하는 것이고 대부분의 분들이 이렇게 사용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밝아진 화면을 깨우기라도 하는데 깨우기도 시간을 설정하실 수 있고 15초 또는 17초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AOD 있는 것과 없는 것 어떤 선택을?

애플워치 AOD 필요성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AOD 기능은 애플워치 5세대부터 지원됐고 한 번 사용하면 편리함에 익숙해져 AOD가 없는 제품을 사용할 때 조금은 불편함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AOD 기능이 있으면 무조건 편리하기 때문에 AOD가 있는 애플워치 시리즈를 추천합니다. 중고로 구입하시려면 애플워치 5세대 이후 모델로 구입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보급형 애플워치 SE(1세대, 2세대)는 AOD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만약 AOD가 없어도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고 기본적인 성능으로 무장한 가성비 모델을 구입하시려면 애플워치 SE 시리즈를 살펴보시면 됩니다.



함께 확인하면 도움이 되는 글

애플워치 GPS 셀룰러 차이 나에게 필요한 것은?

애플워치 모델 확인 방법 빠르게 알려드려요

아이폰 15 프로 프로맥스 차이 이것만 알아두세요

아이폰 12 14 비교 이것으로 충분

아이폰 12 12 프로 비교 가장 쉽게 하기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